본문 바로가기

Javascript5

This project is configured to use pnpm 에러 내 프로젝트는 yarn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인데, pnpm 관련 에러가 나와서 이상했다.예전에 내가 PC에서 pnpm 세팅한 것이 있는데 global 적으로 뭔가 잘못 세팅된 것인지.. 검색해보니 corepack 관련 설정때문인 것 같다.https://github.com/nodejs/corepack/issues/424 Usage Error: This project is configured to use yarn · Issue #424 · nodejs/corepackIf you have pnpm and yarn projects try change to yarn_project and run pnpm --dir pnpm_project or change to pnpm_project and run yarn --cwd.. 2025. 2. 22.
Javascript NPM 배포하기 오늘은 Javascript 코드를 NPM에 배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npm 계정 생성 및 로그인먼저 npm 계정을 생성하고 로그인해야 한다. (NPM 홈페이지)계정 생성이 완료되었다면 터미널에서 npm 로그인을 해보자.npm login   2. 배포할 프로젝트에서 NPM 배포로그이 완료되었다면 배포할 프로젝트에 진입해서 현재 패키지가 npm에 이미 존재하는지 검색해봐npm search 내-패키지-이름-입력 패키지 이름이 이미 존재할 경우에 package.json에서 이름을 변경해준다.변경 후 npm에 배포하기 위해 아래 명령어를 입력npm publish  성공적으로 배포 되었다. 2025. 2. 18.
JavaScript의 CJS(CommonJs)와 ESM(ESModule)의 차이 JavaScript로 개발을 하게되면 CJS, ESM에 대해서 많이 들어보게된다.CJS, EMS은 어떤거고,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JavaScript에서 모둘을 다루는 방식에는 CommonJS(CJS)와 ECMAScript Module(ESM) 두 가지가 있다. 1. CommonJS(CJS)CommonJS는 주로 Node.js 환경에서 사용되는 모듈 시스템으로, 초기 Javascript 환경에서는 모듈 시스템이 없었기 때문에Nodejs가 이러한 모듈 시스템을 도입했다. 특징require 함수를 사용하여 모듈을 불러옴module.exports또는 exports 객체를 사용하여 모듈을 내보냄동기적으로 동작 (파일을 즉시 로드함)브라우저 환경에서 직접 실행할 수 없음 (번들링 필요)전체 모듈을 가.. 2025. 2. 18.
EventManager (EventBus) 패턴이란 EventManager(=EventBus) 패턴이란? EventManager는 간단하게 이벤트들을 관리하는 객체 입니다. EventManager에는 다음과 같이 3가지의 역할이 존재합니다. Event (이벤트): 이벤트들을 저장하는 이벤트 data 저장소 Publisher (발신자): 저장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발신자 Subscriber (수신자): 이벤트가 발생시켰을 때 해당 이벤트를 수신하는 구독자 이러한 개념을 적용시켜서 javascript로 EventManager 객체를 만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EventManager 객체 list(이벤트): 특정 key로 이벤트를 저장하는 Map 자료구조 emit(발신자): list 자료구조에 특정 key의 event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한다면 해당 이벤트.. 2023. 12. 23.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에 대하여 - 1 자바스크립트하면 항상 따라다니는 개념 비동기 처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필자도 여러 블로그들을 참고하면서 공부를 하였는데, 자바스크립트의 동기, 비동기에 대해서 잘못 설명하고 있는 블로그들이 너무 많아서 새롭게 공부를 하고 있는 분들이 혼동을 가질 거 같다. 그런 분들을 위해 실제 코드를 중심으로 글을 작성해서 비동기 처리에 대해 개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동기(synchronous), 비동기(asynchronous)란 ? 동기(synchronous) 요청을 보낸 후 해당 응답을 받아야 다음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동기라고 한다. 쉽게 말해서, 코드가 동작한다고 할 때 코드 한 줄이 완료가 된 후 그 뒤에 코드가 실행되고, 그 뒤에 코드가 완료가 된 후, 그다음 코드가 실행되는 것이 동기적으로 작동하.. 2021. 12. 31.